자취 생활 5년 차인 직장인 김 모 씨는 일주일에 두 번 재택근무를 할 때면 답답한 방, 시끄러운 카페 대신 건물 맨 위층에 있는 ‘공유거실’을 찾는다. 입주민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이 공간은 대단지 아파트 필수 커뮤니티 시설로 꼽히는 독서실과 카페테리아를 합친 형태로, 이불 등 부피가 큰 빨래를 할 수 있는 세탁기까지 갖췄다. 가끔은 애플리케이션으로 파티룸을 예약하고 친구들을 불러 축구를 보며 맥주도 즐긴다.
요즘 학교나 직장 근처에서 자취하는 사람을 일컫는 일명 ‘자취러’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공유주택의 모습이다. ‘코리빙(coliving)’으로도 불리는 공유주택은 침실은 각자 따로 쓰고 거실·주방·피트니스룸 등 생활공간을 공유하는 방식의 임대주택이다. 아파트 한 채를 여러 명이 나눠쓰는 셰어하우스와 달리 화장실이 딸린 별도의 방에서 생활하면서 아파트에서나 누릴 법한 커뮤니티 시설까지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한 건물에서 사는 입주민들과 계약을 맺은 집주인이 한 명으로 모두 같다는 점도 기존 오피스텔과의 차이점이다.
국내에 처음으로 공유주택을 선보인 이태현 홈즈컴퍼니 대표를 17일 서울 강남구 홈즈스튜디오 선정릉점에서 만났다.
국내 첫 공유주택 브랜드인 ‘홈즈스튜디오’는 2017년 1호점인 남영역점에서 출발했고 7년 만에 지점은 국내외 포함 총 7개, 객실 수는 600여 개로 늘었다. 일본에서 도시계획을 전공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서 신도시 개발 업무를 주로 맡았던 이 대표는 국내 청년들의 열악한 주거 환경을 바라보며 ‘한국형 공유주택’을 기획했다. (중략)
서울경제 ㅣ K공유주택, 구해줘 홈즈!… "日 이어 美에도 깃발 꽂아야죠" (서울경제 신미진 기자)
자취 생활 5년 차인 직장인 김 모 씨는 일주일에 두 번 재택근무를 할 때면 답답한 방, 시끄러운 카페 대신 건물 맨 위층에 있는 ‘공유거실’을 찾는다. 입주민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이 공간은 대단지 아파트 필수 커뮤니티 시설로 꼽히는 독서실과 카페테리아를 합친 형태로, 이불 등 부피가 큰 빨래를 할 수 있는 세탁기까지 갖췄다. 가끔은 애플리케이션으로 파티룸을 예약하고 친구들을 불러 축구를 보며 맥주도 즐긴다.
요즘 학교나 직장 근처에서 자취하는 사람을 일컫는 일명 ‘자취러’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공유주택의 모습이다. ‘코리빙(coliving)’으로도 불리는 공유주택은 침실은 각자 따로 쓰고 거실·주방·피트니스룸 등 생활공간을 공유하는 방식의 임대주택이다. 아파트 한 채를 여러 명이 나눠쓰는 셰어하우스와 달리 화장실이 딸린 별도의 방에서 생활하면서 아파트에서나 누릴 법한 커뮤니티 시설까지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한 건물에서 사는 입주민들과 계약을 맺은 집주인이 한 명으로 모두 같다는 점도 기존 오피스텔과의 차이점이다.
국내에 처음으로 공유주택을 선보인 이태현 홈즈컴퍼니 대표를 17일 서울 강남구 홈즈스튜디오 선정릉점에서 만났다.
국내 첫 공유주택 브랜드인 ‘홈즈스튜디오’는 2017년 1호점인 남영역점에서 출발했고 7년 만에 지점은 국내외 포함 총 7개, 객실 수는 600여 개로 늘었다. 일본에서 도시계획을 전공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서 신도시 개발 업무를 주로 맡았던 이 대표는 국내 청년들의 열악한 주거 환경을 바라보며 ‘한국형 공유주택’을 기획했다. (중략)
이하 기사 전문 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