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부동산기업은 30년 뒤를, 한국 건설사는 ‘분양 대박’을 구상한다. 일본의 30년 계획은 자본을 끌어들인다. 이태현 대표는 같은 방법으로 수천억 원 개발 펀드를 유치했고, 서울내 역세권에 주택을 짓기 시작했다.
진행 박형진 브리즘 대표, 글 문상덕 기자 mosadu@fortunekorea.co.kr 사진 강태훈
●이태현 홈즈컴퍼니 대표 연세대 도시공학과 졸업. 일본 규슈대에서 도시·지역계획학 석, 박사 학위를 받았다. LH공사, 삼성물산에서 신도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경험했다. 2015년 홈즈컴퍼니를 창업했다.
충무로역 인근에 자리한 코리빙하우스 ‘홈즈레드 명동’. 지난해 12월 문을 열었다. 이곳 14층, 엘리베이터 옆엔 이태현 대표의 작은 사랑방이 있다. 손님맞이 공간에 그는 아버지 유품을 뒀다. 오디오 브랜드 ‘마란츠(Marantz)’의 앰프, ‘탄노이(Tannoy)’의 스피커였다. 50년 된 기기들은 세월을 잊은 듯 카랑한 소리를 내뱉었다. 이 대표는 “장인 분을 소개받아 어렵게 복원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긴 호흡을 즐겼다. 2015년 회사를 세웠지만, 셰어하우스, 공유오피스 같은 트렌드를 좇지 않았다. 부동산 개발과 운영, 그리고 중개를 묶는 사업 모델을 고집했다. 그의 고집을 비로소 이해한 곳은 영국의 자산운용사 ICG였다. 2023년 ICG와 함께 3천억 원 규모 부동산개발 펀드를 조성했다. 지난해까지 벌써 건물 네 곳을 매입, 리모델링해 내놨다. 홈즈레드도 그중 하나다.
오랜 시간 그를 지켜본 박형진 대표는 “처음에는 무척 답답했다”며 웃었다. 두세 달 뒤에 봐도, 일 년 뒤에 봐도 그는 제자리에 있는 듯했다. 박 대표는 “과속 페달을 밟던 위워크는 결국 고꾸라졌다”며 “지나고 보니 부동산업의 본질이 그런 듯했다”라고 돌이켰다.
이 대표의 비전은 공공과 다르다. 공공기관들은 “임대주택을 대규모로 확보하기엔 신규 택지가 부족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땅은 없을 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일본에선 매해 도쿄에 임대주택을 수만 호씩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10년간 100개 지하철역, 10개 도시, 10개 로컬에 홈즈의 공간을 넣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임대주택 사업에 민간 자본의 관심이 덜하다는 데도 그는 동의하지 않았다. 홈즈컴퍼니가 반례였다. 그의 이론적 바탕인 일본의 임대주택 시장도 그의 주장에 힘을 보태고 있었다.
(※코리빙하우스 거실, 커뮤니티 시설 등 공간의 일부를 함께 쓰는 주거 형태.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민간 임대주택의 한 형태로 분류된다.)
전문보기 : 포춘코리아 디지털 뉴스(https://www.fortunekorea.co.kr)
일본 부동산기업은 30년 뒤를, 한국 건설사는 ‘분양 대박’을 구상한다. 일본의 30년 계획은 자본을 끌어들인다. 이태현 대표는 같은 방법으로 수천억 원 개발 펀드를 유치했고, 서울내 역세권에 주택을 짓기 시작했다.
●이태현 홈즈컴퍼니 대표 연세대 도시공학과 졸업. 일본 규슈대에서 도시·지역계획학 석, 박사 학위를 받았다. LH공사, 삼성물산에서 신도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경험했다. 2015년 홈즈컴퍼니를 창업했다.
진행 박형진 브리즘 대표, 글 문상덕 기자 mosadu@fortunekorea.co.kr 사진 강태훈
충무로역 인근에 자리한 코리빙하우스 ‘홈즈레드 명동’. 지난해 12월 문을 열었다. 이곳 14층, 엘리베이터 옆엔 이태현 대표의 작은 사랑방이 있다. 손님맞이 공간에 그는 아버지 유품을 뒀다. 오디오 브랜드 ‘마란츠(Marantz)’의 앰프, ‘탄노이(Tannoy)’의 스피커였다. 50년 된 기기들은 세월을 잊은 듯 카랑한 소리를 내뱉었다. 이 대표는 “장인 분을 소개받아 어렵게 복원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긴 호흡을 즐겼다. 2015년 회사를 세웠지만, 셰어하우스, 공유오피스 같은 트렌드를 좇지 않았다. 부동산 개발과 운영, 그리고 중개를 묶는 사업 모델을 고집했다. 그의 고집을 비로소 이해한 곳은 영국의 자산운용사 ICG였다. 2023년 ICG와 함께 3천억 원 규모 부동산개발 펀드를 조성했다. 지난해까지 벌써 건물 네 곳을 매입, 리모델링해 내놨다. 홈즈레드도 그중 하나다.
오랜 시간 그를 지켜본 박형진 대표는 “처음에는 무척 답답했다”며 웃었다. 두세 달 뒤에 봐도, 일 년 뒤에 봐도 그는 제자리에 있는 듯했다. 박 대표는 “과속 페달을 밟던 위워크는 결국 고꾸라졌다”며 “지나고 보니 부동산업의 본질이 그런 듯했다”라고 돌이켰다.
이 대표의 비전은 공공과 다르다. 공공기관들은 “임대주택을 대규모로 확보하기엔 신규 택지가 부족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땅은 없을 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일본에선 매해 도쿄에 임대주택을 수만 호씩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10년간 100개 지하철역, 10개 도시, 10개 로컬에 홈즈의 공간을 넣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임대주택 사업에 민간 자본의 관심이 덜하다는 데도 그는 동의하지 않았다. 홈즈컴퍼니가 반례였다. 그의 이론적 바탕인 일본의 임대주택 시장도 그의 주장에 힘을 보태고 있었다.
(※코리빙하우스 거실, 커뮤니티 시설 등 공간의 일부를 함께 쓰는 주거 형태.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민간 임대주택의 한 형태로 분류된다.)
전문보기 : 포춘코리아 디지털 뉴스(https://www.fortunekorea.co.kr)